맨위로가기

쇼헤이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헤이 지진은 1361년 일본 기나이, 구마노 등지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역사 기록에 따르면 사찰 당탑의 파손과 쓰나미 피해가 있었다. 지진은 셋츠, 나라, 야마시로 등지에서 사찰 건물 붕괴를 일으켰으며, 기이 지역에서는 온천 용출이 멈추고 산길이 파손되었다. 쓰나미는 텐노지 서쪽까지 밀려왔으며, 아와, 토사 등지에서 큰 피해를 발생시켰다. 지진의 성격에 대해서는 오사카만을 중심으로 하는 내륙 지진과 난카이 해역의 거대 지진이라는 두 가지 견해가 제시되고 있으며, 발굴 조사를 통해 도카이도 연안도 진원역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 지진 - 훙둥 지진
    훙둥 지진은 1303년 중국 산시성에서 발생한 규모 8.0의 대규모 지진으로, 막대한 피해와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중국 전역의 지진 활동 증가를 알리는 사건이었다.
  • 난카이 해곡 지진 - 1498년 휴가나다 지진
    1498년 휴가나다 지진은 오이타현 사이키시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7.0~7.5의 지진으로, 규슈 지역을 중심으로 피해가 발생했으며 난카이 해곡 지진일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기록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도 있다.
  • 난카이 해곡 지진 - 2009년 스루가만 지진
    2009년 8월 11일 시즈오카현 스루가만에서 발생한 규모 6.5의 슬래브 내 지진인 2009년 스루가만 지진은 넓은 지역에 진도 6약의 흔들림을 일으키고, 교통망 차질, 원자력 발전소 자동 정지, 인명 및 시설 피해를 야기했다.
쇼헤이 지진
지도 정보
지진 정보
이름쇼헤이 지진
위치북위 34.605도 동경 136.848도
현지 시각1361년 8월 3일 (그레고리력)
규모8.2–8.5
쓰나미발생
1900년 이전
명칭
일본어쇼헤이 지진 (正平地震)
날짜 및 시간
발생일 (율리우스력)쇼헤이 16년 (고안 원년) 6월 24일 (율리우스력 1361년 7월 26일)
지역
영향 지역기나이, 구마노, 기이 수도
규모
규모8과 1/4 ~ 8.5
추가 정보
비고서기 환산 관련 주의 필요. 1582년 이전에 발생한 일본 지진의 서기 환산 시 율리우스력인지 그레고리력인지 명기 필요.

2. 지진 기록

쇼헤이 16년(1361년) 6월 24일 인시 (율리우스력 1361년 7월 26일 4시경, 그레고리오력 1361년 8월 3일), 기나이, 구마노 등에서 대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은 『후구마이키』, 『후심심원관백기』(『구관기』), 『반구와 가원기』[10] 등 당시의 신뢰성 높은 사료에 기록되어 있다.

『후구마이키』 등에는 셋쓰 시텐노지의 금당, 나라 도쇼다이지, 야쿠시지, 야마시로 도지 등 주요 사찰의 당탑이 파손되거나 붕괴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반구와 가원기』에 따르면 호류지 금당의 불단이 무너지고, 동대문의 축대가 파손되었으며, 동원 전법당의 벽이 무너져 내리고, 탑의 구륜 상부의 화염(수연)이 꺾였다.

야쿠시지에서는 금당 2층이 기울어져 손상되었고, 2기의 탑 중 1기의 탑의 구륜이 낙하했으며, 도쇼다이지에서도 구륜이 크게 파손되고, 회랑이 전도되었으며, 여러 당이 손상되었다. 기이에서는 유노미네 온천의 용출이 정지되고, 구마노 산의 산길과 산하의 파손이 많았으며, 『구관기』에는 구마노 신사의 사두와 가전이 모두 파손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0][16]

미카와 아쓰미군 호리키의 『조광사 연대기』에는 "6월 1일부터 21일까지 대지진으로 땅이 파열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7]

『황년대략기』에는 이듬해 정지 원년 9월 23일(율리우스력 1362년 10월 11일)에 병혁·역병·천변지이로 인해 "정지"로 개원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군담 소설인 『태평기』 권 제36에는 지진과 여름눈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문학적 과장이나 창작으로 인한 부정확한 기술도 있지만, 아와 유키노미나토(유키)의 쓰나미 피해는 사실로 여겨진다.[10]

『태평기』에는 6월 22일(전진으로 추정)에 한여름임에도 동지 전후와 같은 추위로 이 내렸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공경의 일기에는 보이지 않지만, 『고야 춘추』에 "신축 6월 22일, 갑자기 큰 눈이 내려 쌓였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고야산에서는 강설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14][21]

2. 1. 전진 및 여진

쇼헤이 지진의 본진 발생 전후로 여러 차례의 지진이 기록되어 있다.

『후구메이기』, 『고신심인 관백기』(『구간기』), 『충광경기』, 『반구 가겐기』 등의 사료에 따르면, 본진 3일 전 및 2일 전인 1361년 6월 21일과 22일에 교토야마토에서 강한 지진이 발생했다.[18] 6월 21일 유시(18시경)에는 교토에서 땅이 크게 흔들렸고, 6월 22일 묘시(6시경)에는 교토 및 야마토에서 땅이 크게 흔들렸다. 이 지진으로 호류지의 축대가 무너지고 텐노지 금당이 붕괴되었다.[18][19]

『태평기』에 따르면 6월 18일경, 『후구메이기』, 『카스가 와카미야 신전 수호기』에 따르면 6월 16일 사시부터 기나이 부근에서 지진이 빈발했다.

『구간기』, 『후구메이기』에는 본 지진 10일 후인 7월 4일 신시(16시경)에 "땅이 또 크게 흔들린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간신지에 수법이 명해졌고, 지성광법, 존성왕법을 궁중에서 행하여 지진의 액을 물리쳤다.[14] 『후구메이기』에 따르면 6월 21일, 6월 24일의 지진에 필적하는 강한 흔들림이었다고 한다.[21]

이 외에도 6월 16일, 18일, 20일, 25일(텐노지 금당 붕괴), 26일, 7월 24일 (셋츠 나니와 우라의 쓰나미, 태평기 36), 8월 24일 (산노지 가람 붕괴, 태평기 36, 본조통감 142) 등의 지진 피해 기록이 있어, 여진 활동이 꽤 오랫동안 지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1] 다만, 창작이 많이 포함된 『태평기』 및 이것을 토대로 기술된 『본조통감』에 있는 7월 24일 및 8월 24일의 지진 기사는 6월 24일의 지진이라고 해석되고 있다.[14]

2. 2. 쓰나미

쇼헤이 지진 당시 『반구와 가원기』에는 텐노지 서쪽까지 쓰나미가 밀려왔다는 기록이 남아있다.[22]태평기』에는 난바, 아와 나루토 등에서 쓰나미로 인한 큰 피해가 묘사되어 있으며, 특히 아와 유키에서는 1,700여 채의 가옥이 쓰나미로 유실되었다고 한다.[24] 도사(현재의 고치현)에서도 쓰나미 피해 기록이 확인된다.[14][26][27]

3. 지진의 성격

오모리 후사키치는 1913년에 이 지진을 "기나이 및 부근의 지진"으로 분류하고, 진원역이 나라 부근에서 오사카를 거쳐 시코쿠 동북단에 이르는 일대이며, 그 중심은 오사카만에 있다고 보았다. 그는 이 지진이 1510년 에이쇼 지진이나 1854년 이가우에노 지진과 같은 계열의 지진이라고 생각했다.[21]

반면, 이마무라 아키츠네는 1933년에 이 지진이 호에이 지진이나 안세이 지진과 같이 쓰나미 피해가 큰 난카이 해역의 대지진이라고 주장했다.[29]

가와스미 히로시는 1951년에 이 지진의 규모를 ''M''K = 7.로 추정했고,[31] 이는 ''M'' = 8.4로 환산되었다. 우츠(2001) 역시 ''M'' = 8.4로 추정했는데,[16] 이는 우사미(2003)가 추정한 ''M'' 8¼ - 8.5[18]의 중간값을 반올림한 것이다. 그러나 이 지진은 역사 지진으로 기록이 단편적이고 진원역도 불분명하여, 규모 추정치의 정밀도는 높지 않다.

4. 발굴 조사

시즈오카현, 아이치현도카이도 연안에서도 동시기의 지진 흔적이 발견되어, 도카이도 앞바다 지진의 연동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4][32] 나라현, 와카야마현, 도쿠시마현, 고치현, 오이타현난카이도 연안에서는 동시기의 난카이도 앞바다 지진 흔적이 발견되었다.[24][32]


지역유적/조사 내용비고
시즈오카현후지시우키시마가하라하쿠호 지진(684년), 에이초 지진(1096년), 쇼헤이 지진(1361년), 호에이 지진(1707년)과 가까운 시기에 퇴적 주기가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지진으로 인한 침강이 추정됨[33]
아이치현기소강몬마누마 유적14세기 전반의 토광 속에 펼쳐진 분사 발견[34]


지역유적/조사 내용비고
나라현아스카촌카즈마야마 고분14세기 전반까지 도굴된 것으로 보이며, 석실 붕괴. 그 위에 15세기 지층 퇴적. 도굴 후 대지진 발생 추정[34]
와카야마현시오노미사키, 이즈모자키, 아라후네자키생물 유해 군집 조사 결과, 호에이 지진 및 쇼헤이 지진에 의한 지각 변동으로 보이는 이수 흔적 발견[35][36]
와카야마현하시구이암쓰나미의 높은 유속에 의한 거암 이동, 호에이 지진 및 쇼헤이 지진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흔적[37][38]
도쿠시마시나카시마다 유적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지층을 찢는 사맥이 15세기 전반 유구에 의해 깎여나감. 이 사이에 사맥 생성 추정[34]
도쿠시마현이타노정쿠로타니가와 미야노마에 유적, 코조 유적사맥 끝부분이 쇼헤이 지진 시기 지층에서 깎여나감[34]
고치현도사시카니가이케쇼헤이 지진 또는 고와 지진으로 추정되는 쓰나미 퇴적물[39]
오이타현사이키시마고시 류진이케3300년 전까지의 지층 속에서 8개 쓰나미 퇴적물 발견. 이 중 3개는 호에이 지진(1707년), 쇼헤이 지진(1361년), 하쿠호 지진(684년)에 대응 가능. 대규모 지진만 쓰나미 퇴적물 생성 추정[40]


5. 관련 지진


  • 1099년 고와 지진[46] 이후 263년의 간격이 있으며, 이는 쇼헤이 지진 이후의 간격인 약 90~150년[47]보다 길다. 이 기간 동안 기록에 없는 지진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2]

13세기경의 지진

  • 시즈오카시 우에츠치 유적에서는 가마쿠라 시대의 지반 균열과 정단층이 발견되었다.[48]
  • 와카야마현미시마 후지나미 유적에서 13세기의 액상화 현상으로 보이는 분사 흔적이 발견되었다.[24]
  • 나치카쓰우라정 가와세키 유적에서는 12세기 후반 폐허가 된 창고 터를 둘러싸듯이 지반 균열에 사력층이 퇴적된 흔적이 발견되었다.[49]
  • 오사카부사카이시 이시즈타이 신사 유적에서 13세기 전반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맥이 발견되었다.[24]
  • 『메이게츠키』, 『헤이토키』, 『햐쿠렌쇼』 및 『아즈마카가미』 등에 교토가마쿠라에서의 13세기 전반의 강진 기록이 있지만, 난카이 트로프 연안의 지진이라고 할 확실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겐코 원년(1331년)의 지진

  • 태평기』에는 겐코 원년(1331년)에 기이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센리하마의 먼 간석지가 융기하여 육지가 되었고, 4일 후 스루가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후지산 정상에서 붕괴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겐코 원년(1331년) 지진 관련 기록

날짜지역내용
1331년 8월 7일[J]기이지진 발생.[4] 규모 M≧7[6][5][59] 센리하마의 먼 간석지 융기.
1331년 8월 11일[J]스루가지진 발생, 후지산 정상 붕괴.


  • 간오지(感応寺) 3대 주지 닛슈(日寿)의 전기에는 "이 지진으로 간오산(感応山) 폭천사(滝泉寺)가 붕괴되었고, 그 후 순푸(駿府)로 이전되어 개명된 것이 지금의 간오지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61][62] 그러나 이 기록은 『태평기』와 독립적인 기록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8][63]

쇼헤이 15년(1360년)의 지진

  • 기이 히다카군의 『렌센지기』에는 쇼헤이 지진 전 해에 다음과 같은 지진 기록이 있다.[64]

쇼헤이 15년(1360년) 지진 관련 기록 (『렌센지기』)

날짜지역내용
1360년 11월 13일[J]기이, 셋쓰대지진 (13회)
1360년 11월 14일[J]기이, 셋쓰재진
1360년 11월 15일[J]불명오전 6시경 쓰나미. 구마노 오와세부터 셋슈 효고까지 크게 훼손. 소, 말, 사람의 죽음의 수는 알 수 없음.


  • 진앙(추정)은 [4], 규모는 M7.5~8[6][5][59]이다.
  • 이 기록은 구마노나다 동쪽이 진원역인 도카이도 앞바다 지진으로 생각된 적이 있었지만,[65] 공경들의 기록에 없고, 지진의 존재 자체가 의심받고 있다.[18][66][42] 『렌센지기』는 분카 연간에 필사 정리된 것이며, 렌센지는 분메이 17년(1485년) 개기이며, 『렌센지기』의 기록이 쓰여지기 시작한 것은 메이레키 3년(1657년)부터이며, 그 이전 또는 개기 이전의 내용에 관해서는 오래될수록 신뢰성이 저하되어, 중세 시대의 기록은 사료 가치가 낮다고 여겨진다.[56]

참조

[1] 웹사이트 Earthquake Information https://www.waterdam[...] 2021-06-28
[2] 웹사이트 日本被害地震年表:before1600 http://wwwsoc.nii.ac[...]
[3] 논문 Uplifted sessile assemblages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Kii Peninsula, related to historical earthquakes along the Nankai Trough http://www.histeq.jp[...] 2008
[4] 문서
[5] 문서
[6] 웹사이트 日本付近のおもな被害地震年代表 (16世紀以前) https://www.zisin.jp[...]
[7] 문서
[8] 논문 文献史料からみた東海・南海巨大地震 https://doi.org/10.5[...] 1999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논문 "[論説]1361年康安南海地震で法隆寺五重塔の九輪の上は本当に燃えたのか?" http://www.histeq.jp[...] 2016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간행물 本邦大地震概説 https://hdl.handle.n[...] 1913
[22] 문서
[23] 논문 "[報告]正平(康安)地震(1361年)による大阪での津波遡上高" http://www.histeq.jp[...] 2013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간행물 正平南海地震(1361)の津波に襲われた土佐国香美郡田村下庄の正興寺の所在について 2003
[28] 문서
[29] 논문 南海道沖大地震の謎 https://doi.org/10.1[...] 1933
[30] 논문 9世紀にアムールプレート東縁に沿って起きた噴火・地震活動について https://doi.org/10.1[...] 2008
[31] 간행물 有史以來の地震活動より見たる我國各地の地震危險度及び最高震度の期待値 https://hdl.handle.n[...] 1951-10-05
[32] 논문
[33] 논문 静岡県中部浮島ヶ原の完新統に記録された環境変動と地震沈降 https://www.gsj.jp/d[...] 2007
[34] 문서
[35] 논문 "「南海トラフ沿いに起きた歴史地震に伴う隆起を記録した紀伊半島南部沿岸の生物遺骸群集」" http://www.histeq.jp[...] 2008
[36] 간행물 "紀伊半島南部沿岸に分布する隆起生物遺骸群集の高度と年代 -南海トラフ沿いの連動型地震の履歴復元-" https://www.gsj.jp/d[...] 活断層・古地震研究報告 No.8 2008
[37] 간행물 和歌山県串本町橋杭岩周辺の漂礫分布の形成要因 http://www2.jpgu.org[...]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2011年大会講演要旨 2011
[38] 간행물 潮岬周辺の津波石と隆起痕跡から推定される南海トラフの連動型地震履歴 http://www2.jpgu.org[...]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2011年大会講演要旨 2011
[39] 간행물 岡村委員提出資料 https://www.bousai.g[...]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 第2回会合 2012
[40] 간행물 津波堆積物に記録された南海地震の繰り返し間隔 http://www2.jpgu.org[...]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2007年大会予稿集 2007
[41] 간행물 連動型巨大地震としての宝永地震(1707)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2007年大会 2007
[42] 논문 総合報告:古地震研究によるプレート境界巨大地震の長期予測の問題点 -日本付近のプレート沈み込み帯を中心として 特集: 大地震の長期予測はどこまで可能か? I. 古地震調査と長期予測 https://doi.org/10.4[...] 地震, 第2輯 1998
[43] 간행물 1361年正平南海地震に対応する東海地震の推定 https://cir.nii.ac.j[...] 日本地震学会講演予稿集1998年度秋季年回 1998
[44] 간행물 伊勢神宮外宮の被害と1361年康安地震 http://www2.jpgu.org[...]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2011年大会講演要旨 2011
[45] 간행물 [論説]伊勢神宮外宮の被害からみた康安元年の地震 http://www.histeq.jp[...] 歴史地震 2017
[46] 간행물 [論説]1099年承徳(康和)南海地震は実在せず,1096年嘉保(永長)地震が「南海トラフ全域破壊型」だった可能性―土佐地震記事を含む『兼仲卿記』紙背の官宣旨案の考察― http://www.histeq.jp[...] 歴史地震 2016
[47] 간행물 [講演要旨]1605年慶長地震は南海トラフの地震か? http://www.histeq.jp[...] 歴史地震 2014
[48] 문서 寒川(1997), p43-44.
[49] 문서 寒川(2007), p74-77.
[50] 간행물 "13世紀古記録にもとづく未知の東海・南海地震の発生時期検討" http://www.histeq.jp[...] 歴史地震・第25号 2010
[51] 논문 『平家物語』および『方丈記』に現れた地震津波の記載 https://cir.nii.ac.j[...] 建築雑誌 1999
[52] 문서 琵琶湖西岸断層帯の変位量分布 月刊地球
[53] 간행물 琵琶湖西岸断層帯の活動性および活動履歴調査 https://www.jishin.g[...]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07
[54] 간행물 琵琶湖西岸断層帯の長期評価の一部改訂について https://www.jishin.g[...] 地震調査推進研究本部 2009
[55] 문서 石橋(2014), p79-80, 注p24.
[56] 논문 実在しない天福元年二月五日(ユリウス暦1233年3月17日)の南海巨大地震 https://doi.org/10.4[...] 地震 第2輯 1998
[57] 간행물 [講演要旨]1605年慶長地震は南海トラフの地震か? http://www.histeq.jp[...] 歴史地震 2014
[58] 간행물 南海トラフ地震の"新しい"地震像 http://www.gensai.na[...] 南海トラフ広域地震防災研究プロジェクト研究交流会 2015
[59] 문서 これらは存在自体が疑われる幽霊地震の可能性が高く、仮に存在してもその地震像は殆ど不明で不確定であるため文献などに規模や震央が記載されていても殆んど意味をなさない。日本地震学会HPに引用されている時点における『理科年表』の記事はその新たな知見が反映されていない。
[60] 간행물 富士川断層連日監視と東海地震発生の予測 http://cais.gsi.go.j[...] 東京大学地震研究所, 地質移動班
[61] 간행물 静岡県富士市厚原の滝泉寺廃寺伝承に現われる元弘元年七月七日(1331 VIII 1 9)の地震 地震学会講演予稿集 1987
[62] 서적 富士山の噴火 万葉集から現代まで 築地書館 1992
[63] 서적 嘉保三年(永長元年,一〇九六)十一月二十四日と承徳三年(康和元年,一〇九九)正月二十四日の地震 - 東海地震と南海地震 古地震探求 -海洋地震へのアプローチ 1995
[64] 서적 大日本地震史料 増訂 一巻 1941
[65] 논문 Source mechanisms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historical earthquakes along the Nankai trough, Japan. Tectonophysics 1975
[66] 서적 疑わしい四つの熊野灘地震 1正平十五年(一三六〇)十月五日地震の虚像 続古地震-実像と虚像 1989
[67] 간행물 資料 南日本の基本水準面変化からみた古代・中世の津波史料の評価 http://www.sfjo-lame[...] La mer 29, 日仏海洋学会 1991
[68] 문서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日本のおもな地震」
[69] 저널 1361年正平南海地震に対応する東海地震の推定 https://historical.s[...] 1998
[70] 웹인용 南海トラフの地震の長期評価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01-09-27
[71] 저널 伊勢神宮外宮の被害と1361年康安地震 http://www2.jpgu.org[...] 2011
[72] 저널 総合報告: 古地震研究によるプレート境界巨大地震の長期予測の問題点 -日本付近のプレート沈み込み帯を中心として- https://www.jstage.j[...]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